보안뉴스, 데일리시큐, 전자신문, 기타 IT전문언론을 우선순위로 하여 추출됩니다.
중복된 기사를 포함한 전체 기사는 가장 아래 전체기사보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월 1일 뉴스입니다.
가장 큰 골칫거리 문서형 악성코드, 이제는 ‘인공지능’으로 대응할 때 실습[보안뉴스 박은주 기자] 전통적인 방법만으로 변화무쌍한 최신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분석하기엔... AI 기술을 통해 보안 담당자는 기존 탐지 능력의 한계를 넘어선 한층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악성코드를... |
[사설]일상화된 사이버 위협, 새로운 경보체계 필요하다 공공기관 보안 담당자의 피로 누적, 위협에 대한 무감각화 등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일상화된 사이버 위협에 대비해 사이버위기경보 체계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보안 담당자 피로는... |
AI 업계, 모호한 공개 데이터 처리 기준 탓에 개발 지연… “구체적 법... 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7월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AI 개발·서비스에 이용되는 공개 데이터 처리 기준을 제시했지만, 기술·서비스 개발에 있어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오고 있다. 공개 데이터는... |
[김경환 변호사의 디지털법] 〈39〉권한 없는 자에게 CCTV 영상 보여주면... 개인정보보호법 제71조 제5호(제59조제2호를 위반해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하거나 권한 없이 다른 사람이 이용하도록 제공한 자 및 그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 |
사이버위기경보 2년 반 만에 '주의'→'관심' 하향…일상이 된 사이버 위... 그러면서 “북한 등 국가 배후 해킹조직은 해킹 공격이 일상 업무”라면서 “보안 실무 대응력과 경보 무감각 심화 등을 감안해 경보체계 개편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보안뉴스>
디지털투데이 | QR코드 포함한 이메일 받는다면 '주의' 필요 |
데이터넷 | [클라우드 내비게이터] 클라우드 보안 오답노트 |
뉴스핌 | 이강일 의원, 개인정보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 발의 |
데일리한국 | 사이버공격 하루 16건 시대...공공기관 화이트 해커 양성 나서 |
미주중앙일보 | “피싱 메일 사기 조심하세요” |
광주매일신문 | 국가안보 위협하는 산업기술 유출 적극 막아야 / 이장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