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2'에 해당되는 글 1건

보안뉴스, 데일리시큐, 전자신문, 기타 IT전문언론을 우선순위로 하여 추출됩니다.

가장 상단에 있는 뉴스는 chatGPT를 이용해 요약한 기사입니다.

2월 11일 뉴스입니다.

정보보호학회, ‘낯선 발신자 재확인’...온라인 보안 가이드 발표

온라인 사기 예방을 위해 낯선 발신자 확인 및 2단계 인증 활성화를 권고.
- 한국정보보호학회와 구글이 ‘온라인 사기 예방 및 보안 강화 방안’ 발표.
- 이메일 사기 예방을 위해 발신자 확인 및 긴급 요청 포함된 이메일 검토 필요.
- 전화 및 문자 사기 방지를 위해 링크 클릭 금지 및 인증 정보 공유 자제.
- 웹 검색 시 광고 신뢰성 확인 및 공식 출처 확인 강조.
- 온라인 사기 발생 시 비밀번호 변경, 2단계 인증 활성화 및 금융기관 신고 권고.
- 구글 AI가 피싱메일 99% 차단, 크롬이 의심 사이트 차단 능력 향상.
- 지난해 구글의 사기 방지 기능으로 100만 대 이상의 기기 보호.

“걱정되는 AI·클라우드 보안, 고객 중심 SASE 서비스로 해결한다”

AI 확산과 하이브리드 근무 증가로 인해 네트워크 보안 위협이 급증하며, SASE 기술이 필수로 떠오름.
- 클라우드 기반 IT 환경 확산으로 기존 네트워크 보안 모델이 한계를 보임.
- 네트워크와 보안을 통합한 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 기술이 대안으로 주목받음.
- HPE 아루바 네트워킹과 원츠넷이 SASE 솔루션 시장에서 기술력과 지원 체계로 경쟁력 확보.
- SASE는 제로 트러스트 기반으로 일관된 보안 정책 적용 및 운영 효율성 증대.
- 원츠넷, HPE 아루바 네트워킹의 플래티넘 파트너로 MSP 기반 SASE 솔루션 제공.
- 주요 고객 사례로 ‘캐치테이블’, 의료 연구 기관 등이 있으며 보안 및 네트워크 안정성 강화.
- 기업은 SASE 도입 시 기존 보안 인프라 한계를 분석하고 단계적 전환 전략 필요.
- 원츠넷, AI 관제센터 개편 및 AI·클라우드 사업 확장 계획 발표.

[보안칼럼]국가 미래 경쟁력 결정짓는 사이버 보안의 전략 산업화

사이버 보안이 기업 생존을 넘어 국가 안보와 경제에까지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부각됨.
- 일본 라인 개인정보 유출 및 미국 틱톡 금지 검토 사례로 보안의 중요성 재확인.
- 자율주행차 해킹, AI 악용 등으로 인해 국가 시스템 전반이 마비될 위험 존재.
- 글로벌 사이버 보안 시장 규모 약 250조 원, 연평균 7% 성장률 기록.
- 국내 사이버 보안 시장은 6조 1000억 원 규모로 글로벌 성장률보다 높은 9% 성장세 유지.
- 기업 보안 사고가 브랜드 신뢰도뿐만 아니라 경영 전반과 주가에도 영향 미침.
- 의료, 위성 데이터 유출 시 국민 안전과 국가 신뢰도에도 타격 발생 가능.
- 국가 차원에서 사이버 보안을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하며, 민관 협력 강화 필요.

개인정보 분쟁 정보통신업종 최다 전체 27%

개인정보 분쟁조정 사건이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는 취약계층 보호 및 협업 강화가 중점 추진 방향으로 설정되었다.
- 개인정보 분쟁조정 사건이 전년 대비 21.0% 증가(666건 → 806건)하며, 조정성립율도 78.5%로 상승
- 침해 유형 중 ‘동의 없는 개인정보 수집’이 최다(26.1%), ‘안전성 확보조치 미비’ 관련 사건이 2배 이상 증가
- 정보통신업 관련 사건이 가장 많았으며, 공공기관과 금융·보험업 대상 사건이 크게 증가
- 분쟁조정제도 강화로 인해 소송보다 신속한 해결이 가능해 신청 건수가 증가
- 2025년 중점 추진 방향으로 개인정보 취약계층 보호, 관계 기관 협업 확대, 대국민 인식 제고 등이 선정됨

LLM과 인공지능 시대, 데이터 및 시스템 보안 전략

탈레스가 LLM 환경에서의 데이터 보호를 위해 CipherTrust Transparent Encryption(CTE) 솔루션을 제안했다.
- 탈레스의 CTE 솔루션은 LLM이 접근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무단 접근을 방지
- CipherTrust Manager(CM)를 활용한 중앙 암호 키 관리로 데이터 보안 강화
- 특정 폴더 및 파일을 GuardPoints로 지정해 보안 정책에 따른 접근 제어 가능
- Confidential Virtual Machines(CVM) 및 신뢰 실행 환경(TEE) 도입으로 실행 중 데이터 보호
- 금융, 의료, 법률 등 민감한 정보를 다루는 산업에서 보안 강화를 위한 솔루션으로 주목
- 국내 총판사 롤텍은 CTE 솔루션이 기존 시스템과 원활하게 통합 가능하다고 강조
- 기업의 AI 활용 증가에 따른 데이터 보안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기준 제시

프롬프트 10%가 민감 데이터 포함…기업에 필요한 보안 대책은?

생성형 AI를 통한 기업 기밀 데이터 유출 사례가 급증하며, 승인된 AI 애플리케이션도 보안 위협이 될 수 있음.
- 하모닉 보고서에 따르면 직원 프롬프트의 8.5%에 민감 데이터 포함
- 고객 데이터(46%)가 가장 많이 유출되며, 급여 정보 및 PII(27%), 법률 및 금융 데이터(15%)도 다수 포함
- 보안 관련 정보(6.88%) 유출은 침투 테스트 결과, 네트워크 구성, 사고 보고서 등의 심각한 보안 위협 초래
- 기업에서 승인된 AI 애플리케이션도 데이터 유출 위험을 내포하며, 특히 무료 AI 서비스가 가장 큰 문제
- 섀도우 AI 및 세미 섀도우 AI 사용이 보안 위험을 증가시키며, 기업 경영진이 이를 주도하는 경우도 존재
- 생성형 AI 활용 시 데이터 보호를 위한 명확한 정책 수립 및 직원 교육 필요
- 보안 전문가들은 AI 도구 사용 시 민감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쿼리 작성법을 학습해야 한다고 강조
- 기업이 AI 보안을 강화하려면 IT 부서가 실질적으로 유용한 AI 도구를 제공해야 함

[배종찬의 보안 빅데이터] 취준생 두 번 죽이는 채용 ‘피싱 사이트’
취준생 타깃으로 개인정보 및 금전 탈취 노리는 채용 피싱 사이트 발견 보이스피싱 전달책의 가담경로, 구직사이트 70.6% 달해 [보안뉴스=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 2월이면 많은 대학교에서 졸업식이 열린다. 졸업은...

 

딥시크 뜨자 新 공격 기법 덩달아 극성
각종 민감 데이터 유출 가능성도 존재.[보안뉴스 문가용 기자] 대형 언어 모델(LLM)을 노리는 공격이... LLM재킹은 보안 업체 시스딕(Sysdig)에서 2024년 상반기에 만든 용어다. “공격자가 탈취한 크리덴셜을 사용해...

 

정보보호학회, ‘낯선 발신자 재확인’...온라인 보안 가이드 발표
안전한 인터넷의 날을 맞아 구글과 협력“온라인 보안과 사기 대응할 실질적인 정보 다뤄”[보안뉴스 조재호 기자] 정보보호학회가 온라인 사기 방지를 위해 이메일이나 메시지 등에서 낯선 발신인 재확인할 것을...

 

[bnTV] 엎친 딥시크, 덮친 관세... 시장은 ‘덤덤’
물리적 분리 클라우드 환경 구축 보안↑[보안뉴스 이소미 기자] 는 보안 상장기업들에 대한 증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 주간의 시장 흐름과 ‘보안 상장기업들의 주가 흐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걱정되는 AI·클라우드 보안, 고객 중심 SASE 서비스로 해결한다”
사이버 보안 위협이 급증하고 있다. 기업들의 IT 환경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되면서 전통적인 물리적 장벽은 사라지고, 네트워크 보안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네트워크...

 

[보안칼럼]국가 미래 경쟁력 결정짓는 사이버 보안의 전략 산업화
예컨대 정보보호 공시제도 활성화,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개선,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 제도 활성화, 보안 인센티브 제공 등 상시적인 보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종합 정책이 절실하다. 아울러 국제 기술...

 

<보안뉴스>

지디넷코리아 개인정보 분쟁 정보통신업종 최다 전체 27%
지디넷코리아 '보안 논란' 딥시크, 안전하게 사용하는 3가지 방법
아이티비즈 LLM과 인공지능 시대, 데이터 및 시스템 보안 전략
ITWorld 프롬프트 10%가 민감 데이터 포함…기업에 필요한 보안 대책은?
지디넷코리아 [기고] 헬스케어에서 생성형 AI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법
IT비즈뉴스 '전세계 기업, 평균 29개 공급업체·83개 보안 솔루션 활용 중'
테크월드뉴스 노드VPN, '노로그' 정책 검증 완료…딜로이트 감사 결과 공개
디지털투데이 애플·구글, 앱 스토어서 악성 모바일 앱 20개 삭제
IT Daily 'AI 시대 사이버 보안 위한 필수 조건은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
플래텀 [최앤리의 스타트업×법] 맞춤형 광고와 개인정보
AI타임스 오픈AI, 미국 정부와 딥시크 조사 논의...'증류는 웹 크롤링과 차원 달라...
뉴스웍스 정보보호학회·구글, '안전한 인터넷의 날' 행동 수칙 발표
데일리팜 병·의원 환자정보 유출 사고, 적용범위 확대 법안 시동

 

<IT소식>

보안뉴스 [월드시큐 황.당.사] 구글, 일방적 인공지능 정책 변경 外
IT동아 [생활 속 IT] 윈도 운영체제 관리 도우미 ‘MS PC 매니저’
인공지능신문 오픈AI, '인공지능, 지능의 시대' 개막... 'AI가 인간의 능력을 극적으로...
인공지능신문 EU 인공지능 규제, '빅테크 vs. 유럽', 그리고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혁...
디지털데일리 [DD퇴근길] 밤 10시면 앱 꺼진다고?…인스타그램 청소년 계정, 실효성은...
서울경제 나도 모르게 정기결제 동의?…교묘한 '다크패턴' 뿌리 뽑는다
글로벌이코노믹 ICT 기업들이 말하는 '한국형 AI'는?
CIO Korea 칼럼 | 잘 고르면 개발 시간 50%까지 단축···AI 에이전트 빌더 플랫폼...
연합뉴스 'AI 기본법이 걸림돌 돼선 안돼…1∼2년내 성패 갈릴 것'
산업일보 “AI시대, 인공지능 사용법 아는 기업·개인이 성공할 것”
이투데이 [시론] 기업이 갖춰야 할 AI 리터러시

 

<행사/교육소식>

보안뉴스 “기술유출 지속 증가, 法 개정 필요”...최수진 의원실 ‘공청회’ 개...
디지털데일리 [ZT콘퍼런스] 국정원, 20일 국가망보안체계 직접 소개한다

 

'보안 이야기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10일 뉴스  (0) 2025.02.11
2월 8일 ~ 2월 9일 뉴스  (0) 2025.02.10
2월 7일 뉴스  (0) 2025.02.08
2월 5일 뉴스  (0) 2025.02.06
2월 4일 뉴스  (1) 2025.02.05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