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623건

RAID

개발자로 살기 2010. 4. 15. 17:56
□ 정의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 여러개의 하드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

□ 구분
  ○ 하드웨어적 방법 : 운영체제에 하나로 묶은 논리적 디스크가 하나의 디스크처럼 보이게 하는 방법
  ○ 소프트웨어적 방법 : 운영체제 안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보이게 하는 방법

□ 레벨(표준 RAID 레벨)
  ○ RAID 0
    - 패리티가 없는 스프리핑된 세트(최소 2개 디스크)
    - 장점
      · 개선된 성능에 추가적인 기억장치를 제공
      · 병렬로 드라이브를 읽기 때문에 넓은 대역폭 제공
    - 단점
      · 실패할 경우 자료의 안전 보장 불가
        ‥· 단일 디스크 실패시 배열을 완전히 파괴.
          ∵ 데이터가 RAID 0 방식으로 쓰일 때, 데이터는 여러 조각으로 나뉨
      · 디스크들의 한 섹터가 실패시 모든 디스크의 해당 섹터는 사용 불능 표시
      · 오류 복구 불가
    - 조각은 각 디스크에 동시적으로 같은 섹터위에 기록. 따라서 조각의 개수는 디스크의 개수와 동일

  ○ RAID 1
    - 패리티가 없는 미러링 된 세트 (최소 2개 디스크)
    - 디스크 오류와 단일 디스크 실패에 대비하여 실패방지 기능 제공
    - 모든 데이터 블록은 모든 물리적 디스크들에 복사
    - 장점
      · 다중 스레드를 지원하는 운영체제 사용시 읽기 성능 향상
    - 단점
      · 쓰기 시도시 약간의 성능 저하

  ○ RAID2, RAID3은 폐기되어 사용되지 않음

  ○ RAID 4
    - 패리티가 단순 제공되는 스트리핑된 세트 (최소 3개 디스크)
    - RAID0 /1의 장점의 균형을 잡기 위한 방법
    - 1~n-1 블록까지는 스트라이핑 모드로 구성
    - n블록은 1부터 n-1까지의 블록들에 해당되는 각각의 비트들의 패리티 저장
    - 읽기작업의 효율 : n-1
    - 쓰기작업의 효율 : (n-1) / 2
      ·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기록시 패리티 디스크에도 동시에 기록해야 함

//여기부터는 잘 사용되지 않음

  ○ RAID 5
    - 패리티가 배분되는 스트리핑된 세트 (최소 3개 디스크)
    - 패리티 디스크의 모든 정보가 모든 하드디스크에 분산. 따라서 패리티 디스크가 따로 존재하지 않음
    - 모든 쓰기 작업에서 패리티 디스크에 접근할 필요가 없어 패리티 디스크의 작업부하 줄여줌

  ○ RAID 6
    - 패리티가 배분되는 스트리핑된 세트 (최소 4개 디스크)

  ○ RAID 0+1
    - 디스크 스트리핑(RAID 0) 한 후, 디스크 미러링(RAID 1) (최소 4개 디스크)
    - 디스크가 6개일 경우 3개씩 스트리핑 후 미러링 수행

  ○ RAID 10 (RAID 1+0)
    - 디스크 미러링(RAID 1) 후, 디스크 스트리핑(RAID 0) (최소 4개 디스크)
    - 디스크가 6개일 경우 2개씩 미러링 후 미러링된 3개 스트리핑

  ○ RAID 50 (RAID 5+0)
    - 패리티가 배분되는 스트리핑된 세트를 다시 스트리핑(RAID 0) (최소 6개 디스크)

  ○ RAID 1E
    - 미러링과 데이트 스트라이핑의 결합 (최소 3개 디스크)

□ 레벨 (비표준 RAID 레벨)
  ○ RAID 1.5
    - 읽기는 RAID 0처럼 작동하여 성능상의 이점
    - 쓰기는 RAID 1처럼 작동하여 안정성 도모
    - HighPoint사의 컨트롤러에서만 지원







※ 용어정리
○ 스트라이핑
  - 성능 향상을 위해 단일 파일과 같은 논리적으로 연속된 데이터 세그먼트들이,
    물리적으로 여러개의 장치, 즉 디스크 드라이브 등에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나누어 기록
  - 고장에 대비하거나 에러를 체크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지만
    그러한 기능을 다른 여러가지 방식들과 함께 사용은가능하다.

○ 미러링
  - 장비가 고장나는 사고 발생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장치에 중복 저장
  - 자기디스크에서만 '미러링'이라 부름
  - 자기테이프 장치에서는 '트위닝'

'개발자로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1.1 에러코드  (0) 2011.01.11
파티션과 볼륨  (0) 2010.04.16
RAID 0 설치방법  (0) 2010.04.15
Telnet 설치하기  (0) 2010.04.14
FTP 설치하기(vsftp)  (0) 2010.04.14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1. Telnet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 yum install telnet-server
  - yum -y 옵션을 줘도 상관없다. 무조건 yes를 하겠다는 의미이므로...

2. Telnet 설치 확인하기
# rpm -qa | grep telnet
telnet-0.17-39.e15
telnet-server-0.17-39.e15
위처럼 나오면 정확히 설치된거임

3. 환경설정하기
# vi /etc/xinetd.d/telnet

service telnet
{
flag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disable = no
}

여기서 disable이 원래 yes로 되어있다. 이걸 바꿔줘야 한다.

4. 데몬 실행
# /etc/init.d/xinetd restart
Stopping xinetd: [ OK ]
Starting xinetd: [ OK ]

위처럼 나오면 정상적으로 restart 된 거임

※ 한글 이용하기
~/.bashrc 파일에 "LANG=korean" 입력

'개발자로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1.1 에러코드  (0) 2011.01.11
파티션과 볼륨  (0) 2010.04.16
RAID 0 설치방법  (0) 2010.04.15
RAID  (0) 2010.04.15
FTP 설치하기(vsftp)  (0) 2010.04.14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1. FTP 다운로드
# yum install vsftpd

2. FTP 환경설정
# vi /etc/vsftp/vsftp.conf
anonymous_enable=YES
  # 이부분은 anonymous를 허용할지를 물어보는 부분이기 때문에 허용하지 않고자 하면 주석처리를 해준다
chroot_list_enable=YES
chroot_list_file=/etc/vsftpd/chroot_list
저장

3. 접근 제한하기
# vi /etc/vsftpd/chroot_list
접근 막을 ID 하나씩 입력(한줄에 하나씩)

4. FTP 데몬 실행
# /etc/init.d/vsftpd restart

이제 알아서 쓰면 된다
당연히 접속하는 계정은 만들어져 있어야겠지....

'개발자로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1.1 에러코드  (0) 2011.01.11
파티션과 볼륨  (0) 2010.04.16
RAID 0 설치방법  (0) 2010.04.15
RAID  (0) 2010.04.15
Telnet 설치하기  (0) 2010.04.14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