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2016년도 3일이 지났군요..

1월 1일에 정리했어야 하는 포스팅이었는데 캠핑이 예정되어 있다보니

이제서야 포스팅을 합니다

2016년 1월 1일부로 개정 또는 신설되어 시행되는 개인정보보호법이 몇가지 항목이 있습니다.

1. 개인정보보호법 제24조의2(주민등록번호 처리의 제한)

② 개인정보처리자는 제24조 제3항에도 불구하고 주민등록번호가 분실·도난·유출·위조·변조 또는 훼손되지 아니하도록 암호화 조치를 통하여 안전하게 보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암호화 적용 대상 및 대상별 적용 시기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개인정보의 처리 규모와 유출 시 영향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대통령령은 개인정보보호법 시행령 제21조의2(주민등록번호 암호화 적용대상 등)으로 암호화 적용 대상은 주민등록번호를 전자적인 방법으로 보관하는 개인정보처리자입니다. 다만, 적용 시기가 약간씩 다른데요 적용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100만명 미만의 정보주체에 관한 주민등록번호를 보관하는 개인정보처리자
  : 2017년 1월 1일

100만명 이상의 정보주체에 관한 주민등록번호를 보관하는 개인정보처리자
  : 2018년 1월 1일

아직 1년 또는 2년의 시간이 남아있습니다만 주민등록번호는 이미 아주 민감하게 관리되고 있는 개인정보이니만큼 가장 최우선으로 암호화 해야 하는 항목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미 많은 지침자료에서 암호화 하도록 하고 있기도 하구요...

참고로 이를 위반하는 경우 개인정보보호법 제75조(과태료)에 따라 5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왠만하면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에관한법률(약칭 정보통신망법)이 변경되면 해당 내용을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2016년 새해에도 이미 6월 2일에 시행될 예정인 정보통신망법 개정안과 7월 25일에 시행될 예정인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이 나와있는 상태네요

변경되는 법안 꼭 체크하셔서 괜히 벌금이나 과태료 무는 일이 없도록 조심하세요~~~


개인정보 보호법_160101.pdf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_160101.pdf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드디어 CISA를 취득했습니다.

사실 취득 완료는 5일에 됐는데요 바쁘다는 핑계로 포스팅을 차일피일 미루다보니

보름이 넘게 지나가 버렸군요;;;

시험준비는 1월에 시작해서 6월 시험을 보고 자격증은 아마 1월쯤 도착할 듯 하니까 딱 1년 걸렸네요

CISA야 워낙에 흔해빠진 자격증이라고는 하지만

그래도 필요하신 분이 계실까 싶어 이렇게 후기를 올려봅니다

CISA에 관심을 가진지는 꽤 됐습니다.

하지만 자격증을 따는 것 보다는 자격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공부를 해보자는 생각이었기 때문에

자격증에서 요구하는 경력을 채우면서 어느정도 기반지식을 쌓고 자격증에 임하고자 했습니다.


CISA 자격증은 총 5개 도메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IS 감사 프로세스(The Process of Auditing Information System)

2. IT 지배 및 관리(Governance and Management of IT)

3. 정보시스템 구입, 개발 및 구현(Information Systems Acquisition, Development,and Implementation)

4. 정보시스템 운영, 유지보수 및 지원(Information System Operations, Maintenance and Service Management)

5. 정보자산의 보호(Protection of Information Assets)


일반적으로 IT 업무를 하시던 분들이 첫번째 도메인인 IS 감사 프로세스를 어려워 하고

감사 업무를 하시던 분들은 세번째 도메인인 정보시스템 구입, 개발 및 구현을 어려워 하신다고 하더군요

제 개인적으로는 개발자임에도 불구하고 정보시스템 구입, 개발 및 구현이 가장 어려웠고

IT 지배 및 관리가 잘 맞는다고 생각했지만 의외로 쉽지 않았습니다.

(시험에서는 IT 지배 및 관리가 가장 높게 나왔습니다^^)


시험준비를 독학으로 하는 방법도 있었지만 국비지원과정의 지원금이 상당하기 때문에

국비지원과정으로 들어도 꽤 괜찮더군요

어차피 CISA는 학원도 한정되어 있고 많은 사람들이 다니는 것 처럼 라이지움을 다녔습니다.

주말반을 다니는게 생각보다 녹록치는 않습니다. 

일장일단이 있겠지만 제가 가장 경계했던 부분은 나태함이었습니다. 수업량이 적지 않기 때문에 수업시간에 일주일 전 내용을 다시 훑어주지 않습니다. 어차피 직장인이 대부분이고 자기관리는 알아서 해야하는 사람들이잖아요^^

저는 퇴근후에 한두시간씩이라도 도서관에 들러 정리를 하고 갔습니다.

주말에 배운 내용을 따로 메모를 하기 때문에 그걸 책에 옮겨적으면서 한번 더 볼 수 있고 그 주에 배운 내용을 잊지 않는게 목적이었고 이는 꽤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주중반은 어떨지 모르겠습니다만 주말반으로 다닌다면 절대 수업 빼먹지 마시고 만약 빼먹었으면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VOD를 다시 수강하셔야 합니다. 하루에 나가는 진도가 절대 적은양이 아닙니다.

사실 공부를 많이 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도 매일 학원 VOD 수강이나 도서관에서 복습을 한게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됩니다.


CISA를 독학하려고 하시는 분들 중에 라이지움 책을 중고로 구입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라이지움 CISA 교재는 종이를 단면으로 사용하고 있고 한쪽면에는 노트를 할 수 있습니다.

꼭 노트가 잘 되어 있는 교재로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깨끗한 책이 만냥 좋은책은 아니잖아요.. 특히 독학하려면...

'일상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닝글로리 청첩장 후기  (1) 2019.01.10
카플라노 사용기  (0) 2016.02.03
집에서 맥주 만들기  (2) 2015.09.29
리필시대 프린터 AS 후기  (0) 2015.01.21
가계부  (0) 2015.01.13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이 글은 정보보호 업무를 진행하면서 내/외부 고객으로부터 질의 받은 내용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문) 2-factor 인증은 반드시 해야하는 강제사항인가?

일반적으로 2-factor 인증이라고 불리는 내용이긴 하지만 사실상 multi-factor 인증의 일부라고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2-factor 인증은 무엇인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포털 등등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로그인을 하고 있습니다. 로그인 절차는 식별 및 인증의 두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과정인데요 인증 단계에서 사용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인증의 한 종류인 'something you know'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2-factor 인증은 이러한 인증요소가 두가지 이상 결합된 인증을 말하는데요 먼저 인증요소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Something you know : 인증구분에서 TYPE I으로 불리며 지식기반 인증방식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위에서 말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방식이 있습니다.

2. Something you have : 인증구분에서 TYPE II로 불리며 소유기반 인증방식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IPIN이나 스마트카드 등이 있습니다.

3. Something you are : 인증구분에서 TYPE III로 불리며 존재기반 인증방식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생체인증이 이에 속합니다. 출퇴근시 지문인식으로 사무실 출입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으실텐데요 이러한 내용이 Something you are에 속합니다.

4. Something you do : 인증구분에서 TYPE VI로 불리며 행동기반 인증방식이라고 합니다. 쉽게 볼수는 없는 내용이지만 그나마 쉽게 볼 수 있는것은 서명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하지만 서명만으로 인증을 하는 경우는 쉽지 않죠.. 인증보다는 식별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긴 합니다만 행동기반으로 범죄수사에서 걸음걸이를 사용한다는 소리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이건 확실하지 않은 내용이라서..;;)

이 때, multi-factor 인증에 속하려면 두가지 이상의 요소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예를들어 아이디, 패스워드를 확인한 후 특정 질문에 대한 답을 받는다면 두번의 인증을 거치지만 TYPE I만을 두번 거친 인증방식이기 때문에 Two-factor 인증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럼 질문의 핵심인 2 factor 인증은 반드시 해야하는 사항인가?
답부터 말씀드리자면 'ISMS인증대상이면서 대량의 개인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경우 의무사항에 가깝다'입니다.
ISMS 인증기준 10.3.1 사용자인증 항목에서 '중요 정보시스템 접근 시 강화된 인증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KISA 에서 발간된 ISMS 인증제도 안내서(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제도 안내서 일부개정 139페이지 - ISMS 안내사이트 ISMS 자료실 41번 게시물)에서 '공개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을 허용하는 주요 정보시스템의 경우 아이디, 패스워드 기반의 사용자 인증 이외의 강화된 인증수단(OTP, 공인인증서 등) 적용을 고려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문구만 보자면 권고사항으로 볼 수 있지만 ISMS 인증 심사를 받다보니 의무사항에 가깝다고 여겨집니다만 제가 겪은 경험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의무사항이라고는 못하겠습니다.
다만, 주요 정보시스템이라면 아무래도 인증방식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맥주를 집에서 만들어 먹은지도 벌써 2년이 넘은듯 하네요

재작년 수시를 마치고 팀원들과 회사에서 한잔 했으니..

주변에 맥주 만든다고 하면 하고싶다는 사람은 많은데 상당히 어렵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집에서 맥주 만드는거 하나도 어렵지 않아요~~

(물론 완전 곡물로 하면 힘들꺼 같습니다만 아직은 간단히 원액캔을 이용한 양조만 하고 있습니다.)

맥주를 만드는 법은 상당히 간단합니다.

1. 소독

2. 원액과 물, 몰트를 섞는다

3. 효모를 뿌린다

4. 1주일간 발효

5. 병입 후 숙성

6. 맛있게 마신다


이번에 만드는 원액은 IPA(India Pale Ale입니다. 요즘 유행하는 수제맥주집을 가도 어딜가나 있는 맥주죠.. 정통 페일에일보다는 약간 도수가 높은 그런 맥주입니다. 
Hop는 Cascade, 효모는 safbrew s-33을 썼는데요 홉과 효모는 굳이 별도로 구매하지 않아도 상관 없습니다.
홉은 기본적으로 원액에 같이 들어가구요 효모는 원액에 함께 들어있는 효모를 써도 됩니다.
저도 처음에는 기본적인 홉과 효모를 썼는데 점점 새로운 향과 맛을 찾으며 이것저것 섞어보게 되더라구요..

구매처는 마지막에 적어놓겠습니다.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효조, 소독용 스프레이, 병따개, 비중계, 온도계, 효모, 소독제, 홉, 원액, 몰트, 냄비두개가 사진에 있는 전부네요

이밖에 발효조에서 섞을 때 쓰는 길다란 막대가 하나 필요합니다.

소독용 스프레이에 소독제와 물을 넣고 모든 물건을 소독해 줍니다.

양조는 처음부터 끝까지 소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소독이 중요합니다.

물론 맥주 종류중에는 소독을 하지 않고 남은 미생물을 이용해 다시 발효시키는 종류도 있긴 합니다만

그런건 오크통에서 항온, 항습이 완벽히 통제되는 곳에서만 가능하니까요..

    

 발효는 맥주가 닿는 모든 것을 반드시 꼼꼼히 해야 합니다.


두번째로 물과 원액을 섞어야 하는데요 아무래도 물이 뜨거워야 쉽게 녹고 섞이겠죠? 그래서 물을 좀 끓입니다.

물을 끓일때 옆에서는 원액을 살짝 중탕을 시키는데요 그렇게 하면 원액이 좀 녹아 쉽게 부어낼 수가 있습니다.

물론 완전히 캔 벽에 붙은 원액까지 끌어내기 위해 끓인 물을 한번 캔에 부어서 싹 긇어내기는 합니다

사진을 보면 왼쪽은 물을 끓이는 냄비구요 오른쪽은 원액캔을 중탕시키는 냄비이기 때문에 왼쪽 냄비는 소독이 된 냄비이며 물도 정수된 물 또는 마트에서 산 따지 않은 생수를 써야 합니다. 수돗물에도 소독을 하면서 이런저런 미생물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수돗물을 이용해서 맥주를 만드시면 상할수도 있고 맛이 달라지게 됩니다.

어느정도 물도 온도가 올라갔고 중탕도 됐으면 발효조에 다 부어넣습니다.

끓인 물을 넣을때는 캔을 싹싹 닦아내야 하니까 살짝만 남겨두세요

일단은 끓인물과 원액, 홉, 스프레이몰트(저는 스프레이 몰트를 1kg 사용합니다. 가장 좋은건 액상몰트를 원액에 맞춰 넣는거라는데 저는 스프레이몰트를 주로 사용합니다. 스프레이몰트 500g에 설탕 500g을 넣기도 하는데요 맛이 아무래도 살짝 떨어진다고 하네요..)를 넣고 녹을때까지 휘휘 저어줍니다

그 다음에 물을 넣는데요 제가 구입하는 비어스쿨의 대부분의 원액은 23리터짜리입니다만 20~21리터를 만들면 더 맛있대요.. 전 항상 20리터를 기본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다 집어 넣었으면 거품이 차 오를때까지 막대를 이용해서 열심히 저어줍니다.

개인적으로 이 과정이 젤 힘들어요;;;;

어쨌든 많이 저어서 다 섞였다 싶으면 발효통에 들어가있는 액체들이 안정될때까지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그 다음에 효모를 뿌려줍니다

   

이제 뚜껑을 닫고 일주일정도 기다리면 발효가 완료됩니다.

그 전에 비중을 재어두면 지금의 비중과 발효 후의 비중을 이용해 도수를 측정할 수가 있답니다.

오늘 만든 IPA는 1.041이 나왔네요.. 평소보다 상당히 높은 도수의 맥주가 나올 것 같습니다.

아마도 측정이 불가능했던 발리와인을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비중이 나온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뚜껑을 덮어야 하는데요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꾹 눌러주시구요

에어락을 꽃는데 이것은 밖에 있는 공기가 들어가지 않고 않에 있는 가스를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또하나 발효가 끝난 것도 에어락의 움직임을 통해 알 수가 있습니다.

에어락의 움직임이 없고 비중이 1.010에 가까워지면 발효가 끝났다고 보더라구요..

혹시라도 에어락에 있는 물이 안으로 새어들어갈 수가 있으니 에어락에 물을 채울때도 정수된 물을 이용해 주세요

이제 일주일 후에 발효가 완료되면 병입을 할텐데요 그 때 아주 단순한 노가다 작업인 병입에 대해 한번 더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자가양조를 하면서 조언을 얻는곳은 다음의 맥만동이라는 카페구요(http://cafe.daum.net/microbrewery)

카페 메인에 보시면 업체 목록이 있습니다만

제가 이용하는 곳은 비어스쿨(http://www.beerschool.co.kr)입니다.

'일상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플라노 사용기  (0) 2016.02.03
CISA 취득하기(1) - 시험 개요 및 학원수업  (0) 2015.12.28
리필시대 프린터 AS 후기  (0) 2015.01.21
가계부  (0) 2015.01.13
덕수궁 프로젝트  (0) 2012.10.14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작업을 하다보면 종종 컬럼명은 알고 있는데

그 컬럼이 있는 테이블을 다 검색할 일이 생깁니다.

그런일이 생길 줄 몰랐는데 생기더군요;;;

이왕 찾은거 나중에 쓸 일이 또 있을까 싶어서 이렇게 기록해 둡니다.

아래 '컬럼명' 자리에 찾으실 컬럼명이 들어가면 됩니다.


SELECT
    SO.Name AS '테이블명',
    AC.Name AS '컬럼명',
    TYPE_NAME(USER_TYPE_ID) AS '데이터타입'
FROM SYS.ALL_COLUMNS AC
    INNER JOIN SYSOBJECTS SO ON AC.Object_ID = SO.ID and SO.XTYPE = 'U'
WHERE AC.Name = '컬럼명'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javascript에서 종종 현재 걸려있는 이벤트를 중단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return false를 가장 편하게 쓰지만

이벤트 초기화 시키거나 상, 하위로 전파되는 이벤트 리스너만 막아야 하는 경우

다음 네가지 방법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1. event.preventDefault()

  - 현재 이벤트의 기본 동작을 중단시킨다.


2. event.stopPropagation()

  - 이벤트가 상위로 전파되는 것을 막는다.


3. event.stopImmediatePropagation()

   - 현재 이벤트를 상위 뿐 아니라 현재의 레벨까지 동작하지 않도록 중단시킨다.


4. return false

  - 기본적으로는 event.preventDefault()와 같다.

    하지만 jquery 를 사용하는 경우 1, 2번을 모두 사용한 것과 같다고 한다.


예전에 수업 듣다가 정리해야지 했던걸 반년이 넘어서 다른거 보다가 생각나서 이제 정리함;;;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지금 간단히 제가 쓰기 위해 만들고 있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그거 만들다가 찾은 내용입니다.

html5의 file API를 쓰면 메타데이터가 나오질 않는군요..

다음 사이트에 있는 jpegmeta.js 파일을 import 하시면

jpeg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bennoleslie/jsjpegmeta


당연히 File API를 사용해 file을 읽어와야 합니다.

일단 이 포스팅은 저장용으로 급히 쓰는거니까 정리는 추후에...


var reader = new FileReader();

reader.file = files[0];//files는 input form에서 파라미터로 넘어온 데이터입니다

reader.onloadend = function(){

var jpeg = new JpegMeta.JpegFile(this.result, this.file.name);

}


jpeg를 console.log로 찍어보시면 exif 정보를 빼낼 수 있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왠만하면 제품 후기같은거 안쓰는데요

이번에 너무 열받아서 글 올립니다

실수로 잉크를 완전히 다 떨어질때까지 썼다가 쌩고생했네요

제품 자체는 나쁘지 않습니다만

잉크 주문하고 잉크 받고 제품 AS 보냈는데 아직까지도 입금전으로 뜨는군요

잉크 받는데까지 전화를 한 열댓번 했네요

제 실수로 인해서 AS를 받았고 AS비용을 내는건 이해를 합니다

(제가 리필잉크에 대해 잘 몰라서 그러는데 잉크통이 완전히 엥꼬날때까지 썼습니다.

그래서 잉크를 추가해도 안나오더군요 그 부분 수리하는데 3만원 나왔습니다. 

자기 말로는 싸게 해줬다고 하는데 신뢰는 안가네요)


제가 급했기에 미리 약속을 잡고 급한 업무까지 다른사람한테 넘기고

급하게 퇴근해서 AS받으러 갔더니

자기는 개인적인 일로 시골 내려가니 고치고 택배로 보내주겠다고 하길래 급한거라고 빨리 처리해달라고 하고 왔습니다

기껏 기름값에 톨비까지 써가면서 갔는데 택배는 착불이라네요

전 기름값, 톨비에 판매자 개인적인 일로 발생한 택배비까지 지불해야 하는군요


한번 전화했을때 바로 확인해서 전화주겠다고 하면

무조건 다시 전화해야 합니다

절대 다시 전화 안줍니다

성격 급한분은 사후처리 받다가는 홧병 날껍니다


아, 그리고 택배비는 그럼 포인트로 처리해달라고 하니 그건 안된다네요

물론 물건 주문시에도 포인트 결재따위 없습니다

포인트를 왜 쌓는거냐고 하니 대답은 못하네요


난 사후처리 절대 안받겠다고 하는분은 나쁘지 않습니다.


쓰다보니 하나 더 생각났습니다

예전에 제품 AS를 받고나서 인쇄는 잘되는데 트레이를 잡아주는 홈이 깨져서 왔습니다

자기네 책임인지 택배사 책임인지 입증을 저보고 하라더군요

택배 박스에 깨진 부품이 없었는데...

더구나 트레이는 세트로 된거라서 자체만 수리해줄 수 없다고 새로 사라더군요

결국 몇년째 트레이 없이 쓰고있습니다

'일상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SA 취득하기(1) - 시험 개요 및 학원수업  (0) 2015.12.28
집에서 맥주 만들기  (2) 2015.09.29
가계부  (0) 2015.01.13
덕수궁 프로젝트  (0) 2012.10.14
심도 테스트  (0) 2012.10.14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어쩌다보니 종종 기획을 하는 일이 생기게 되더군요

물론 직업적으로야 개발자이니 기획을 얼마나 하겠습니까마는

그래도 제가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이런저런 툴을 만들어 사용할 때 종종 목업 툴이 필요하곤 합니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툴입니다

파워목업은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이 아닌 파워포인트 플러그인 형태입니다.

당연히 파워포인트는 설치가 되어 있어야겠죠..


일단 http://www.powermockup.com 으로 접속하셔서 다운로드 받고 설치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어디까지나 플러그인 형태이기 때문에 파워포인트를 실행시켜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에 보시면 파워목업의 stencil library가 생겼습니다.

현재는 트라이얼 버전인 관계로 다섯가지의 메뉴밖에 사용하지 못하지만

정식버전에서는 모든 것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메세지 박스, 다이얼로그박스 뿐 아니라

요즘은 웹이냐 앱이냐도 엄청 중요하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브라우저인지 타블렛인지 아이폰인지 레이아웃도 정할수 있습니다.


웹사이트에서는 정식버전을 구매할 수 있는데요



1 User에 $59.95이네요

하지만 블로그를 하신다면 무료로 구할 수가 있습니다.

파워목업 페이지에 들어가신 후 Support 메뉴로 들어가 보세요

우측에 Press/Media Kit 메뉴가 있습니다.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신 후에 이 메뉴를 통해 메일을 보내시면 공식 버전을 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유용하게 사용하세요~~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

가계부

일상속 이야기 2015. 1. 13. 11:30


가계부 견본.xlsx

이것저것 가계부 어플도 사용해보고 엑셀 파일도 다운로드 받아서 써보고

수기로 적는 가계부도 사용해보고 하다가

결국 딱 맘에 드는게 없어서 하나 만들었습니다

저는 3년째 사용하고 있어서 그리 불편함이 없지만

견본을 만들다보니 그리 편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네요..

혹시 필요하신 분이 계실지 몰라 올려둡니다.

변경해서 쓰고싶은 부분이 있는데 엑셀을 못다뤄서 변경하지 못하겠다 하시는분은

댓글 달아주시면 수정방법을 알려드리든지 수정을 해드리든지 하겠습니다


월별 시트 삭제하시면 총계쪽에서 문제 생깁니다.

매월 들어가는 부분은 시트별로 다 수정해주셔야 합니다

'일상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맥주 만들기  (2) 2015.09.29
리필시대 프린터 AS 후기  (0) 2015.01.21
덕수궁 프로젝트  (0) 2012.10.14
심도 테스트  (0) 2012.10.14
루브르 박물관전  (0) 2012.09.04
블로그 이미지

ligilo

행복한 하루 되세요~

,